NJ가 발표한 마지막 공식버전 입니다.
NJ 에뮬레이터 v2.3.1 모음 (CPS1/CPS2/MVS/NCD 4종)
NJ가 발표한 v2.2.5과 함께 발표한 개발판 입니다. 3.xx는 펌웨어 3.xx 이상인 구형,신형 둘다 사용가능하며 캐시파일이 필요합니다.
NJ 에뮬레이터 v2.2.5을 수정하여 치트를 적용할 수 있게한 비공식 버전 (CPS1/CPS2/MVS 3종)
NJ 에뮬레이터 v2.2.5를 davex가 치트기능을 추가하여 발표한 버전 입니다.
NJ 에뮬레이터 v2.3.1을 수정한 PSP-300X용 버전 (CPS1/CPS2/MVS 3종)
홈브류 구동이 가능한 상태의 PSP-300X에서 32MB의 램이 아닌 64MB의 램을 전부 사용해서 NJ 에뮬레이터를 구동할 수 있는 버전.
CPS2 / MVSPSP에서는 캐시 파일 필요없이도 각종 게임 구동이 가능하다. (일부 게임은 캐쉬파일이 필요함)
[#M_CPS1PSP 설치법 열기|CPS1PSP 설치법 접기|1. PSP에 따라서 알맞은 버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'cps1psp' 폴더를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.
구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150/ 폴더이며, 신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/ 폴더입니다.
2. 일단 이 상태에서 PSP의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CPS1PSP'를 실행하면 필요한 폴더들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실행만 하고 종료한 뒤 아래 과정을 계속 진행합니다.
3. CPS1기판용 게임의 롬파일(*.zip)을 따로 구해 메모리스틱의 /cps1psp/roms/ 폴더에 넣어둡니다.
단, 롬파일의 이름은 첨부된 gamelist_cps1.txt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변경해주어야 합니다.
4. 이제 설치가 끝났습니다. 이제 PSP에서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CPS1PSP'를 실행합니다.
1. PSP에 따라서 알맞은 버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'cps2psp' 폴더를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.
구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150/ 폴더이며, 신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/ 폴더입니다.
2. 일단 이 상태에서 PSP의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CPS2PSP'를 실행하면 필요한 폴더들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실행만 하고 종료한 뒤 아래 과정을 계속 진행합니다.
3. CPS2기판용 게임의 롬파일(*.zip)을 따로 구해 메모리스틱의 /cps2psp/roms/ 폴더에 넣어줍니다.
단, 롬파일의 이름은 첨부된 gamelist_cps2.txt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변경해주어야 합니다.
4. 구형 PSP의 경우 부족한 메모리로 인해 캐시파일을 따로 넣어주어야 하며,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* 첨부파일의 /romcnv/cps2conv.bat 파일을 실행하면 도스창과 함께 롬파일(.zip)을 지정하는 창이 뜹니다.
* 캐시파일을 만들 롬파일(.zip)을 선택하면 PC의 /romcnv/cache/ 폴더 내에 해당 캐시파일이 생성됩니다.
* 이제 새로 생성된 캐시파일을 메모리스틱의 /cps2psp/cache/ 폴더에 넣어주면 완료됩니다.
# 단, 롬파일(*.zip)은 한글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폴더 경로에 있어야 변환이 가능합니다.
# 캐시파일 생성과정에서 도스창에 표시된 해당 파일(***.13 등)을 롬파일(*.zip)안에서 제외하면 롬파일의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1. PSP에 따라서 알맞은 버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'mvspsp' 폴더를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.
구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150/ 폴더이며, 신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/ 폴더입니다.
2. 일단 이 상태에서 PSP의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MVSPSP'를 실행하면 필요한 폴더들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실행만 하고 종료한 뒤 아래 과정을 계속 진행합니다.
3. 네오지오의 바이오스 파일인 'neogeo.zip' 파일을 구해 메모리스틱의 /mvspsp/roms/ 폴더에 복사합니다.
(만
약 바이오스 파일인 'neogeo.zip' 파일을 넣었는데도 게임이 실행되지 않는다면 'uni-bios-10.zip',
'uni-bios-11.zip', 'uni-bios-12.zip', 'uni-bios-13.zip',
'uni-bios-20.zip', 'uni-bios-21.zip', 'uni-bios-22.zip' 등의 추가 바이오스까지 구해
메모리스틱의 /mvspsp/roms/ 폴더에 넣어주던지 각 바이오스 파일의 압축을 풀고 나오는 'uni-bios.**' 파일을
'neogeo.zip' 파일 안에 포함시켜주어야 합니다.)
4. MVS기판/네오지오콘솔용 게임의 롬파일(*.zip)을 따로 구해 메모리스틱의 /mvspsp/roms/ 폴더에 넣습니다.
단, 롬파일의 이름은 첨부된 gamelist_mvs.txt를 참고하여 동일하게 변경해주어야 합니다.
5. 구형 PSP의 경우 부족한 메모리로 인해 캐시파일을 따로 넣어주어야 하며,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(신형 PSP의 경우에도 몇몇 게임에서는 메모리가 부족하기때문에 캐시파일을 넣어주어야 합니다.)
* 첨부파일의 /romcnv/mvsconv.bat 파일을 실행하면 도스창과 함께 롬파일(.zip)을 지정하는 창이 뜹니다.
* 캐시파일을 만들 롬파일을 선택하면 PC의 /romcnv/cache/ 폴더 내에 해당 캐시파일 폴더가 생성됩니다.
* 이제 새로 생성된 캐시파일 폴더를 통채로 메모리스틱의 /mvspsp/cache/ 폴더에 넣어주면 완료됩니다.
# 단, 롬파일(*.zip)은 한글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폴더 경로에 있어야 변환이 가능합니다.
# 캐시파일 생성과정에서 도스창에 표시된 해당 파일(***.bin 등)을 롬파일(*.zip)안에서 제외하면 롬파일의 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1. PSP에 따라서 위의 첨부파일을 받아 압축을 풀고 그 안의 'ncdzpsp' 폴더를 메모리스틱으로 복사합니다.
구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150/ 폴더이며, 신형 PSP의 경우 ms0:/PSP/GAME/ 폴더입니다.
2. 일단 이 상태에서 PSP의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NCDZPSP 2.2.2'를 실행하면 필요한 폴더들이 자동으로 생성됩니다. 실행만 하고 종료한 뒤 아래 과정을 계속 진행합니다.
3. 네오지오CD의 바이오스 파일인 'neocd.bin' 파일을 각자 구해 메모리스틱의 /ncdzpsp/ 폴더에 복사합니다.
4. 네오지오CD용 게임의 롬파일을 구해 메모리스틱의 /ncdzpsp/roms/ 폴더에 넣어줍니다.
단, 롬파일은 반드시 아래와 같은 2가지 구조 중의 한 가지로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.
/ncdzpsp/ 폴더
|
+- roms/ 폴더
|
+- Metal Slug/ 폴더 (폴더 이름은 상관 없음)
| |
| +- ABS.TXT 등의 파일 (압축되지 않은 기타 개별 파일들)
| |
| +- mp3/ 폴더
| |
| +- Metal Slug - Track 02.mp3 부터 Metal Slug - Track 20.mp3 까지의 개별 mp3
|
+- Samurai Spirits RPG/ 폴더 (폴더 이름은 상관 없음.)
|
+- ssprg.zip (ABS.TXT 등을 비롯한 기타 파일들을 압축한 zip 파일, 이름은 상관없음)
|
+- mp3/ 폴더
|
+- ssrpg_track02.mp3 부터 ssrpg_track32.mp3 까지의 개별 mp3
5. 이제 설치가 끝났습니다. 그럼 PSP에서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'NCDZPSP 2.2.2'를 실행합니다.
NJ 에뮬레이터들은 모두 같은 제작자가 만들어 사용법이 다 비슷합니다.
그래서 아래 CPS2PSP의 사용법 설명으로 나머지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는데 큰 무리는 없을 것입니다.
[#M_CPS2PSP 사용법 열기|CPS2PSP 사용법 접기|PSP의 게임 - 메모리스틱 메뉴로 들어가 구동할 에뮬레이터를 선택해 실행합니다.
동그라미버튼을 누릅니다.
여기서 R트리거를 누르면 도움말을 볼 수 있습니다.

동그라미버튼을 다시 한 번 눌러 확인합니다.
이 과정에서 에러가 난다면 롬파일이 잘못되었거나 캐시파일이 잘못된 것이니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합니다.
(MVSPSP 에뮬의 경우 바이오스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 뒤 게임 로딩이 시작되며, NCDZPSP 에뮬의 경우 바로 게임이 시작되고 게임내에서 로딩이 이루어집니다.)
하지만 그다지 건드릴 필요는 없겠네요.
만약 에뮬레이터의 설정을 변경하고 싶다면 게임 중 언제라도 홈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메인 메뉴에서의 확인키는 동그라미버튼, 취소키는 엑스버튼입니다.
Game configuration - 게임의 각종 설정 변경
Key configuration - 게임에 사용할 조작키 설정
Show command list - 게임의 커맨드 목록 (사용할 일 없음)
Reset emulation - 현재 에뮬레이터를 리셋하고 재기동
Return to file browser - 롬파일 선택 화면으로 돌아가 다른 게임을 실행할 수 있음
Return to game - 현재 실행중인 게임으로 복귀
Exit emulator - 에뮬레이터를 종료하고 XMB로 복귀
우선 Game configuration 메뉴로 들어가보겠습니다.
게임 화면의 크기와 프레임스킵의 설정, FPS 보기, 60프레임 제한 등의 비디오 설정과
사운드 출력 여부, 사운드 볼륨 설정 등의 사운드 설정을 할 수 있고,
컨트롤러의 1P / 2P의 선택과 CPU클럭 설정 등도 변경 가능합니다.
(에뮬의 종류에 따라 몇가지 세부 설정이 달라집니다.)
게임 중 사용할 버튼을 자신의 취향대로 설정할 수 있으며, 자동연사 기능의 설정도 가능합니다.
(만약 6버튼이 필요한 게임의 경우 L트리거 / R트리거가 추가됩니다.)
또한 에뮬레이터에 자체적으로 지원하는 스크린샷의 단축키와 1P / 2P를 변경하는 단축키도 설정 가능합니다.
각 게임당 총 10개의 세이브 슬롯이 지원되며 각 슬롯 위에서 Save / Load / Delete로 변경해서 동그라미버튼을 누르면 강제 세이브, 로드, 삭제를 할 수 있습니다.
이 세이브 / 로드 메뉴에서 다시 L트리거를 누르면 메인 메뉴로 복귀합니다.
* 설치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버전을 사용하세요.
* NCDZPSP는 에드훅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